-
다음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으로 조작적 조건화라는 것은 어떤 반응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상함으로써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선택적 보상이란 강화와 벌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작적 조건화는 자동적 조건화, 또는 도구적조건화라고 한다. 고전적 조건화처럼 사람의 반사적 행동을 학습으로 조건화하듯 반사적이지 않은 행동도 조건화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심리학자 버러스 스키너에 의해 알려진 이론이다. 자신이 원했던 행동을 했을 때 그 대가가 체계적으로 보상이 됨으로써 춤이나 재주 가르침으로 조작적 조건화의 효과를 입증하게 되었다. 조작적 조건화는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마케팅이나 광고에 주로 사용된다. 반응 행동은 고전적 조건화에서 사용된 반응처럼 자극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된 반응으로 침을 흘리는 행동, 무릎반사 등이 있지만 조작 행동은 스스로 일어나는 행동으로 어떤 자극이 있었다고 해도 그것이 무엇인지 인지 하지 못하는 행동을 말한다.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환경에 적용하는 행동을 조작 행동이라 하며 이것을 형성하는 조건을 조작적 조건화하고 하는데 유기체가 행하는 조작 행동은 결과에 따라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고 보며 이것을 통해 어떤 반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한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빈 상자에 지렛대 하나가 들어 있고 이 지렛대는 먹이통과 연결되어 있어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구조인 스키너의 상자를 통해 실험되고 증명된 것으로 배고픈 상태의 쥐를 이 상자에 넣는다. 배고픈 상태를 만드는 것을 박탈이라고 하며 이 쥐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게 되고 먹이가 나오는 반복적인 행동을 통해 지렛대와 먹이의 연결고리를 학습하게 되는 과정의 실험을 말한다. 여기서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먹이에 의해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지렛대를 눌렀을 때 먹이가 나오지 않았다면 지렛대 누르는 행동은 학습되지 못했을 것이며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강화이다. 고전적 조건화에서 강화를 조건화의 과정에서 무조건자극을 부여하는 것으로 보았지만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조건화의 과정에서 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것이며 조작적 조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강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비기너는 유기체가 어떠한 행동을 통한 결과가 스스로 유리한 행동이라면 그것을 더 자주 하게 된다고 보았는데 강화인은 이것의 결과로 주어진 것이 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자극을 말하며 이는 일차적 강화인과 이차적 강화인으로 나뉜다. 유기체의 행동을 직접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일차적 강화인이라고 하는데 배고픈 유기체에 음식으로 만족을 주는 것으로 다음 행동을 바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유기체의 행동을 바로 증가시키지 못하는 것을 이차적 강화인이라 하며 이는 일차적 강화인과 연결하여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쿠폰이나 토큰 등이 해당하는 것으로 돈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돈이므로 일반화된 강화인이라 불리기도 한다. 어떤 행동으로 인해 유기체가 원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 빈도를 높이는 것이 강화지만 선호 자극의 제공뿐 아니라 만이 아니라 혐오자극의 제거로도 강화할 수 있으며 정적 강화는 선호 자극의 제공으로 행동 빈도수를 높이는 것을 말하고 혐오자극의 제거로 유기체를 강화할 수 있는 것을 부적 강화라 한다. 성호 자극의 제공으로 유기체를 강화하는 것이 정적 강화인데 학생들의 발표를 유도하기 위해 발표 때마다 추가 점수를 제공하거나 상을 주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자극은 발표라는 행동 빈도수를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추가 점수나 상이 된다. 반면 혐오자극의 제거로 유기체를 강화하는 부적 강화는 정적 강화처럼 결과적으로 유기체에 유리한 것이지만 선호 자극을 제공하지 않고 혐오자극을 제거하는 것이라는 점이 다르다.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화장실 청소를 하지 않아도 좋다는 전제가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장실 청소하는 혐오자극을 제거해 줌으로써 수업에 참여하는 행동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연속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지속해서 강화하는 것이며 부분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이 나타났을 때 주기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간헐적 강화에는 간격 강화와 비율 강화가 있다. 간격 강화와 비율 강화는 각각 고정적 강화와 변동적 강화가 있다.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유기체가 하는 행동을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만을 말하지 않으며 특정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 어떤 행동의 빈도수를 감소시켜야 하는데 선호자극을 제거해서 행동의 빈도수를 감소시키기도 하는데 이처럼 강화와 반대되는 것이 약화 즉, 벌이다. 유기체의 행동 결과로 어떠한 선호 자극을 제거하거나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벌이며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수여 벌이라 하며 체벌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교사가 학생에게 가함으로 더 이상 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박탈성 벌이라 하여 선호 자극을 제거하는 벌도 있는데 그동안 받아오던 강화인을 제거한다는 것과 같다. 타임아웃이 대표적인 것으로 교실을 시끄럽게 한 특정 학생을 일시적으로 밖으로 추방하는 것으로 다른 친구들과 앉아 공부할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으로 선호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 박탈성 벌의 예가 될 수 있다. 유기체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처벌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틀린 행동이라고 유기체가 판단하지 못하므로 적절한 처벌 적용이 필요하며 처벌받은 유기체가 다른 유기체에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부정적인 정서 반응, 거짓말의 회피 반응을 보이는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처벌은 강도가 강할수록 즉각적일수록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인식이 분명하여 주어지던 벌이 없으면 부적 강호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에 문제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처벌을 제공해야 하는 부수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행위나 처벌 간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타당성이 있어야 원하는 결과를 이끌 수 있다. 즉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벌을 제공하는 것보다 대안적 행동을 확실히 제시하여야 하며 선택의 필요성과 중립적인 제안이 필요하다.